반응형

신덕왕후 강씨

 

남편을 왕으로 만들고 아들도 왕으로 만들려 했던 신덕왕후 강씨

 

남편을 새 나라의 왕으로 만들었고, 자신의 아들 역시 다음 왕으로 만들려고 했던 여인이 있었으니, 그녀는 바로 신덕왕후 강씨입니다.

 

 

신덕왕후 강씨는 태조 이성계의 계비이자, 조선 최초의 왕비가 된 여인입니다.

 

자신의 아들마저 다음 왕으로 만들려다 오히려 아들을 죽게 만든 인물이기도 합니다.

 

신덕왕후 강씨는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는데 큰 영향력을 발휘했습니다.

 

 

그럴 수 있었던 이유는 고려 충혜왕 때 세도를 떨친 권문세가인 곡산 강씨 강윤성의 딸이었기 때문인데요.

 

이성계가 타고난 무예와 지도력으로 그간 쌓은 군공을 바탕으로 권문세족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크게 성장을 한 후 정략결혼을 하였습니다.

 

 

그녀는 남편 이성계보다 무려 21살 연하로 나이만 놓고 보면 부녀지간이라 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강씨는 이성계의 장남인 이방우보다는 2살 어렸고, 훗날 정종이 되는 차남 이방과보다는 1살 많았습니다. 또 정종의 아내인 정안왕후보다는 1살이 어렸으니, 이런 어린 신부를 얻은 이성계는 강씨를 매우 총애했습니다.

 

이성계에게는 신의왕후 한씨가 있었지만, 당시 고려에는 자신의 고향이자 지지기반이 되는 곳에 향처를 두고 개경에는 경처를 두어 두 집 살림을 하는 것이 관례이자 오래된 관습이었습니다.

 

이성계는 변방을 돌며 전쟁터에만 있었기에 중앙 정계인 개경에 들어가지 못했기에 신의왕후 한씨만을 부인으로 두고 있다 점차 공이 커지고 최영 장군의 배려로 중앙 정계에 진출하면서 신덕왕후 강씨를 들인 것입니다.

 

그래서 첫 번째 부인인 신의왕후 한씨는 향처로, 두번째 부인인 신덕왕후 강씨는 경처로 두고 생활했습니다.

 

이성계가 처음 신의왕후 한씨를 부인으로 맞이할때는 동북면 호족인 한씨 집안의 도움이 필요했지만 중앙 정계에 진출할 때는 도움을 받을 수 없었기에 태조 왕건의 외가이면서 곡산의 유명한 권문세가인 강씨 집안의 규수와 혼인을 한 것입니다.

 

 

신덕왕후 강씨는 자신의 지략과 집안의 힘을 통해 이성계를 개경의 실력자가 될 수 있게 도움을 주었고, 마침내 이성계는 조선을 건국합니다.

 

조선 건국 과정 중 1392년 음력 3월 이성계가 해주에서 말을 타다가 떨어져서 크게 다친 것을 계기로 정몽주가 이성계를 제거하려 일을 도모할 때 생모인 한씨의 무덤에서 시묘살이를 하던 이방원을 급히 해주로 보내 이성계를 개경으로 올 수 있게 했으며, 또한 이방원이 그해 음력 4월 포은 정몽주를 죽였을 때 분노한 이성계를 진정시켜 무마한 것도 강씨였습니다.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 고려의 마지막 충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 고려의 마지막 충신

단심가의 주인공 포은 정몽주 1392년 4월26일 고려의 마지막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고려조 마지막 충신이라 불리는 포은 정몽주가 이방원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건이 일어난 것

blogdaitso.com

 

조선이 건국되기 1년전 향처였던 이성계의 첫번째 부인인 신의왕후 한씨가 사망하여 신덕왕후 강씨는 조선의 첫번째 중전이 됩니다.

 

지아비를 왕으로 만든 강씨는 자신의 아들도 왕으로 만들고 싶었습니다.

 

 

결국 그녀는 신의왕후 한씨의 소생으로 장성한 다섯 아들이 있었지만, 그들을 제치고 자신의 소생인 차남 의안대군 이방석을 왕세자로 만들었습니다.

 

 

조선 건국에 공이 많았고, 야망도 컸던 훗날 태종이 되는 정안대군 이방원은 이에 격분하였고, 신덕왕후 강씨와 감정의 골이 깊어집니다.

 

 

1396 9 15(음력 8 13) 신덕왕후 강씨는 세상을 떠납니다. 이에 태조 이성계는 그녀의 죽음을 몹시 애통해했다고 합니다.

 

신덕왕후 강씨가 죽고 2년 후 신의왕후 한씨 소생의 정안대군 이방원이 주축이 되어 제1차 왕자의난 을 일으킵니다.

 

👉👉제 1차 왕자의난으로 권력의 중심에 서다. - 권력 앞에서는 형제도 적이다

 

제 1차 왕자의난으로 권력의 중심에 서다. - 권력 앞에서는 피를 나눈 형제도 적이다

제 1차 왕자의난으로 권력의 중심에 선 태종 이방원 권력앞에서는 피를 나눈 형제도 필요없는 것일까요? 1398년 8월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일어난 왕자들간의 싸움. 바로 왕자의 난 입니다. 이때

blogdaitso.com

 

 

이로인해 신덕왕후 강씨의 소생인 진안대군과 의안대군 이방석은 살해당하고, 사위도 살해당하여 딸인 경순공주는 여승이 됩니다.

 

정릉

 

왕자의 난으로 권력의 정점에 올라선 이방원은 신덕왕후 강씨의 무덤을 도성 밖으로 이전시켜버리고, 부왕 이성계가 세상을 떠나자 신덕왕후를 후궁으로 강등시켜버립니다.

 

신덕왕후 강씨는 이후 1669년 18대왕 현종에 의해 다시 왕후로 복위되어졌습니다.

 

남편을 왕으로 만들고 자식마저 왕으로 만들려했던 신덕왕후 강씨. 그녀의 욕심이 지나쳤던 것일까요? 결국은 사랑하는 자식들을 죽게 만드는 결과만 가져왔습니다.

 

 

자신이 설계하고 만든 조선에 철저히 외면 당한 인물

조선의 설계자 삼봉 정도전 조선을 개국하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인물중 한명이며, 자신이 설계한 나라 조선에서 두 왕조를 섬긴 변절자, 간신 이라는 소리를 들으며 철저히 지워진 인물이 있

blogdaitso.com

 

한산대첩으로 이순신 장군에게 박살나 무인도에서 미역만 먹다 도망쳤던 미역장군 와키자카 야

이순신 장군님에게 대패하고 미역 장군이 된 와키자카 야스하루 임진왜란 치욕의 패전 중 하나였던 용인전투. 용인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던 와키자카 야스하루. 하지만 이후 이순신 장군에게 죽

blogdaitso.com

 

반응형
교차형 무한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