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개시

 

광해군의 비선 실세였던 여인 김개시

 

광해군의 비선실세였던 여인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바로 김개시인데요.

 

천민의 딸이었던 김개시. 그녀는 선조 때 광해군의 궁녀로 들어가게 됩니다.

 

김개시

 

광해군이 세자일 때 동궁전의 나인이 되어 광해군과 인연이 시작된 것입니다.

 

광해군의 어머니 공빈 김 씨가 일찍 죽자 김개시는 궁녀로서 어린 광해군을 지극정성으로 돌보았고 광해군도 자신보다 나이가 많았던 김개시를 믿고 따랐습니다.

 

 

광해군일기에 보면 '나이가 들어서도 외모가 피지 않았고, 교활하며 계략이 많았다.' 라고 기록이 되어있는 것을 보면 김개시의 용모는 볼품이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선조

 

김개시는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선조가 몽진을 떠날 때 선조의 눈에 띄어 승은을 입고 특별상궁이 됩니다.

 

여기서 특별상궁이란 임금에게 승은을 입은 나인이 받는 직첩을 말하며 특별상궁에서 더욱 큰 총애를 받거나 아이를 임신하게 되면 품계를 받아 숙원이나 숙용등 정식 후궁 첩지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김개시는 선조가 죽으면서 특별상궁에서 멈추게 되는데요.

 

미모는 떨어지는 그녀였지만 민첩하고 꾀가 많았다고 합니다.

 

명석한 머리로 사이가 좋지 않았던 선조와 광해군 부자 사이에서 중재를 잘했다고 합니다.

 

선조가 광해군을 눈엣가시로 여기고 영창대군으로 세자로 바꾸려고 하는 상황에서 광해군을 김개시가 도왔다는 기록도 남아있습니다.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왕이 되자 김개시는 광해군의 총애를 받게 되는데요.

 

광해군은 그녀에게 많은 부분의 권력을 허용해줍니다.

 

김개시

 

광해군의 후궁이나 마찬가지였지만 그녀의 지위는 상궁에 머물렀습니다. 이는 후궁이 되면 궁 밖 출입이 불가하기 때문에 일부러 상궁 자리에 머무르며 궁 밖 출입을 자유롭게 하며 정치적 행동을 하려는 그녀의 치밀한 계산이 깔려있었던 행위였습니다.

 

 

김개시는 광해군의 총애 덕분에 국정에 관여를 할 수 있었고, 궐내에서는 중전유씨에 버금가는 인물이 되었고, 궐 밖에서는 광해군의 권신 이이첨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권력을 얻게 됩니다.

 

그녀는 막강한 힘으로 매관매직을 일삼았으며, 자신을 따르는 이들에게 벼슬을 주었고 자신을 반대하는 이들은 벌을 주어 삭탈관직시키고 유배를 보내는 등의 악행을 일삼습니다.

 

그녀의 비리를 참다못해 윤선도, 이회 등이 여러 번 상소하여 논핵하였으나 김개시가 아닌 도리어 바른말을 한 그들이 유배되었습니다.

 

영원할 것 같았던 김개시의 막강한 권력도 그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으니. 그녀의 권력 기반이었던 광해군과 그의 정권이 점점 후반기로 갈수록 위태로워졌고 반정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광해군

 

광해군 치세 말기에는 광해군에게 모반의 징조가 있다는 상소가 여러 번 올라왔습니다.

 

하지만 이럴 때마다 김개시는 "그럴 리가 없다"라고 광해군을 안심시켰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미 김개시는 광해군을 배신하고 반정 세력의 주동자 중 한 명인 김자점에게 뇌물을 주고 자신 역시 반정에 협력하는 대신 지금의 권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약속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김개시는 반정의 조짐을 알리는 상소를 광해군 몰래 없애기까지 했으며 상소를 올린 이를 처벌하기까지 합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고 광해군은 왕에서 쫓겨났습니다.

 

참수당하는 김개시

 

김자점을 비롯한 반정 공신들과의 밀약을 믿고 있었던 김개시.

 

그러나 반정군 김개시는 약속을 어기고 그녀를 잡아 요부로 만든 후 참수시켜버립니다.

 

 

청나라에 9년간 끌려가 고생했지만 아버지로 인해 돌아온지 2개월만에 죽음을 맞이한 비운의 왕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꿨던 소현세자 두 차례의 호란을 겪고 볼모로 청나라에까지 끌려갔던 세자가 있었으니 그는 바로 소현세자입니다. 소현세자의 이름은 이왕으로 1612년 조선의 16대 임금인

blogdaitso.com

 

명성황후 민비는 조선의 국모가 아니다 - 역사왜곡으로 너무나 미화된 민비의 악행

역사 왜곡으로 미화가 된 민비의 악행 역사왜곡 드라마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극의 재미와 시청률을 위해 그러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올바른 역사적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blogdaitso.com

 

 

 

반응형
교차형 무한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