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희빈

 

궁인에서 중전의 자리까지 올랐던 장희빈

 

조선시대 희대의 악녀로 그려지는 장희빈.

 

희빈 장씨는 조선 역사상 유일하게 궁인에서 중전의 자리까지 올라간 여인입니다.

 

 

그녀는 조선의 제 19대 임금 숙종의 빈이자 제20대 임금 경종의 친모입니다.

 

 

희빈 장씨의 이름은 옥정이며, 아버지는 역관 출신인 장형이며, 어머니는 파평 윤씨입니다. 그녀의 친가와 외가는 모두 역관 집안으로 부유한 환경에서 자란것으로 전해집니다.

 

장옥정은 11살의 나이에 나인으로 뽑혀 입궁했습니다.

 

 

희빈 장씨가 숙종을 처음 모시게 된 경위와 연도는 자세하게 기록되어져 있지않지만 숙종의 초비인 인경왕후가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하고 난 이후에 숙종과 맺어졌다는 것으로 기록되어져 있습니다.

 

장옥정은 후궁으로 첩지를 받기전 경신환국이 일어나며 남인이었던 그녀의 숙부 장현이 이 일에 연루되면서 대비에 의해 강제 출궁 당합니다.

 

이미 승은을 입었지만 궐 밖으로 쫓겨나게 된 장옥정은 1683년 명성왕후가 죽은 뒤에야 다시 궁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재입궐을 한 장옥정에게 서인과 인현왕후는 극도의 적대감을 표출하는데요.

 

서인으로서는 남인인 그녀가 숙종의 총애를 받게되면 남인이 다시 조정에 들어서지 않을까라는 걱정이 되었을 것이며, 인현왕후는 자신이 아닌 장옥정이 숙종의 총애를 받는다는 질투심에 장옥정에게 적대감을 표출한것입니다.

 

 

하지만 장씨에 대한 숙종의 총애는 남달라 1686(숙종 12) 4품 숙원에 책봉되었고 함께 취선당이라는 전각을 하사합니다.

 

 

인현왕후는 서인 김수항의 종손녀를 후궁으로 간택하지만 숙종은 거들떠 보지 않았고 숙원 장씨만을 찾으며 총애했습니다.

 

 

이후 숙원 장씨는 정2품 소의로 승격되었고 1688년 숙종이 기다리고 기다리던 훗날 경종이 되는 왕자 윤을 낳게 됩니다.

 

숙종이 왕위에 오른지 14년 만에 얻은 소중한 아들을 낳은 장씨에 대한 숙종의 총애는 하늘을 찌를 듯 했습니다.

 

이듬해인 1689년 음력 1월 아들이 원자로 책봉되면서 희빈이 됩니다.

 

하지만 당시 송시열 등이 대표되는 서인은 희빈 장씨의 아들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의 뜻에 반대하다가 정권을 남인에게 넘겨줍니다.

 

이에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몰락하면서 숙종의 계비인 인현왕후 민씨가 폐비되고, 희빈 장씨가 1689(숙종 15) 음력 10 22일에 왕비로 책봉되었습니다.

 

 

조선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궁녀 출신의 여인이 중전이 된 것입니다.

 

희빈 장씨가 중전이 되고 5년 후인 1694(숙종 20) 숙종은 남인정권에서 서인정권으로 갑작스러운 조정 개편을 단행하는 갑술환국을 진행하는데요.

 

이로 인해 장희빈 역시 신변에 변화가 찾아옵니다.

 

중전 장씨의 오라비 장희재를 급작스럽게 긴급 구속을 명하고는 폐서인 민씨를 다시 궐로 불러들여 중전으로 복위시키고, 중전 장씨를 강등하여 다시 희빈으로 봉한다는 비망기를 내린 것입니다.

 

1701(숙종 27) 인현왕후가 죽은 뒤에 훗날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가 장희빈을 발고하는데요.

 

 

희빈 장씨가 거처인 취선당에 신당을 차려 놓고 인현왕후를 저주해 죽게 했다는 것입니다.

 

이에 장희빈의 측근들이 국문을 받게 되지만, 그들은 모진 고문에도 저주는 없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인현왕후에 대한 장희빈의 저주설은 숙종과 서인들에 의해 사실화 되어 먼저 제주에 유배되어 있던 장희재를 처형해버리고 장희빈에게는 자진하라 명을 내립니다.

 

 

결국 장희빈은 자진하며 생을 마감합니다.

 

장희빈이 죽고 서인들은 세자마저 폐하라 상소하지만 숙종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장희빈에 대한 장례 또한 세자부부로 하여금 상복을 3년 입게하는 3년상을 명하고 왕비에 준하여 치르도록 하였습니다.

 

장희빈 무덤

 

이후 아들 경종은 왕위에 올라 1722년 경종2년에 생모인 희빈 장씨를 옥산부대빈으로 추촌합니다.

 

희빈 장씨가 정말 저주를 일삼았던 악녀였을지, 아니면 숙종에 의한 정쟁의 희생양이었을까요?

 

<인현왕후전>이나 <수문록>과 같은 야사나 언문소설에 나오는 장희빈은 그녀를 싫어했던 서인들, 특히 인현왕후의 오라비인 민진원에 의해 각색되어진 내용이라는 것을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조선시대 노비의 가격은 얼마일까? 말값의 1/3 밖에 안되는 가격이었다?

조선시대 노비의 가격 조선시대는 양천제라는 신분 제도를 바탕으로 신분을 크게 양인과 천민으로 나누었고, 양인은 다시 양반, 중인, 상민으로 나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양반, 중인, 상

blogdaitso.com

 

명성황후 민비는 조선의 국모가 아니다 - 역사왜곡으로 너무나 미화된 민비의 악행

역사 왜곡으로 미화가 된 민비의 악행 역사왜곡 드라마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극의 재미와 시청률을 위해 그러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올바른 역사적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blogdaitso.com

 

반응형
교차형 무한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